
코리아타임뉴스 사회팀 | 경상남도교육청은 20일 경상남도교육청 교육연수원에서 ‘봄봄 사회봉사 프로그램’과 ‘마음 회복 지원 프로그램’ 운영 성과를 공유하는 결과 나눔회를 개최했다.
이번 나눔회는 프로그램 참여자와 담당자들이 실제 사례와 경험을 공유하며, 학생 중심의 회복적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봄봄 사회봉사 프로그램’은 학교 폭력 등으로 사회봉사 처분을 받은 학생에게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학생과 봄봄 위원을 1:1로 연계하는 경남교육청의 전국 최초 운영 프로그램이다. 봄봄 위원은 교원, 변호사, 일반 시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의 행동 변화와 성장을 돕기 위해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마음 회복 지원 프로그램’은 회복적 생활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마음 회복 전문가가 학교를 직접 방문해 학교 폭력 사안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관계 훼손을 최소화하도록 돕는 사업이다. 피해 학생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지원하는 동시에, 가해 학생이 책임을 자발적으로 인식하고 관계 회복을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한다.
이번 나눔회에서는 ▲프로그램 운영 결과 ▲특강 ‘학생에게 무엇이 필요할까?’ ▲우수 운영 사례 발표 등이 진행됐다. 참석한 봄봄·마음 회복 위원들은 다양한 사례를 공유하고, 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효과를 확인했다.
황원판 민주시민교육과장은 “학교 폭력은 단순한 처벌을 넘어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의 마음 회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봄봄 사회봉사와 마음 회복 지원 프로그램이 우리 학생들이 올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