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타임뉴스 전북취재본부 | 완주군마을통합마케팅지원단이 최근 완주경제센터 교육실에서 ‘2025 완주군마을공동체 정책포럼’을 열고 지역 간 협력과 상생 모델 구축을 주제로 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올해 포럼의 주제는 교류로 잇는 상생의 완주’로, 지역 내·외 중간지원조직 및 대학이 한자리에 모여 협력 네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는 완주군 담당자와 완주마을공동체사회적협동조합, 완주군마을통합마케팅지원단,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 원광보건대학교 사회봉사단, 군산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 담양군풀뿌리공동체지원센터, 전북특별자치도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등 관계자 25여 명이 참석해 중간지원조직 간 연대의 가치와 지속 가능한 지역 협력 모델을 함께 모색했다.
기조발표는 강영석 전북특별자치도 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정책지원실장이 맡아 ‘지역 상생과 네트워크 협력의 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강 실장은 농촌활성화사업의 변화 흐름과 최근 추진 동향, 기관 간 연계 필요성, 타 시·도의 협력 사례를 제시하며 포럼의 방향성을 소개했다.
이어지는 사례발표에서는 박혜숙 군산시농어촌종합지원센터 사무국장이 ‘마을공동체와 협업 사례’를 양순애 담양군풀뿌리공동체지원센터장이 ‘광역·협약기관 간 협력사례’를 또한 김자옥 원광보건대학교 사회봉사단장이 ‘마을로 향하는 인재’를 임소근 완주군교육통합지원센터 사무국장은 ‘마을학교 운영사례’를 발표했다.
특히 박혜숙 사무국장은 주민 참여 기반의 현장 사례를 통해 “중간지원조직은 주민에게 신뢰받는 심부름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순애 센터장은 공모사업 조율과 공동 실행 사례를 제시하며 “경쟁이 아닌 협력이 지역을 변화시킨다”고 말했다. 김자옥 단장은 완주군과 원광보건대학교가 협력해 운영한 청년공익활동·농촌재능나눔 등 사례를 통해 대학의 지역 연계가 지역문제 해결의 실험실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임소근 사무국장은 마을과 학교가 협력할 때 나타나는 시너지를 구체적 사례로 공유했다.
최현주 완주군마을통합마케팅지원단장은 “완주는 그동안 중간지원조직 간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 생태계를 구축해 왔다”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타 시·군과 함께 배우고 실행하는 네트워크를 확장해, 서로의 경험이 서로의 성장이 되는 상생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