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고창愛 빠지다, 모양愛 물드는 시간여행으로

제52회 고창모양성제 (10월29일부터 11월2일까지)..600년 읍성에서 물드는 닷새간의 축제 한마당

 

코리아타임뉴스 전북취재본부 | 전북 고창군에서 오는 29일부터 5일간 ‘제52회 고창모양성제’가 성대하게 열린다.

 

올해는 고창읍성, 꽃정원, 전통예술체험마을 일원에서 ‘고창愛 빠지다, 모양愛 물들다’를 테마로 고창의 역사와 문화에 빠지고, 모양성의 정취에 자연스레 물드는 감성형 참여축제로 꾸며진다.

 

▶축제 공간 확대, 완성형 모양성제로 도약

 

올해 모양성제는 축제 공간을 고창읍성, 꽃정원, 전통예술체험마을, 고창그린마루까지 넓히며 규모와 완성도를 동시에 높였다.

 

역사문화 중심지인 고창읍성을 비롯해 꽃정원의 가을 정취, 전통예술체험마을의 감성 체험이 어우러져 ‘한 곳에서 즐기고, 오래 머무는 축제’로 진화한다.

 

이는 지난 반세기 이어온 모양성제의 노하우가 집약된 결과로, 고창군은 올해를 ‘모양성제의 완성판’으로 선언하며 콘텐츠, 공간, 운영 등 모든 측면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한다.

 

“현생은 잠시 로그아웃, 오늘은 조선으로 로그인!”

 

▶예술도, 멋도, 흥도 살아있는 시간 착각 몰입형 축제

 

고창모양성제는 올해 조선시대 전라도의 고창고을을 그대로 재현하며 특색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고창읍성 축성연도(1453년)를 딴 ‘리턴즈 1453 존’은 조선시대 생활상과 문화를 현대적 감각으로 풀어낸 체험형 역사 공간으로 꾸며졌다.

 

고창읍성의 장터 문화를 그대로 재현한 ‘모양장터’에선 전통 의복, 수공예품, 향토음식 등을 직접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실제 주모가 관람객을 맞이해 막걸리와 안주를 권하는 조선풍 체험형 선술집인 ‘모양주막’도 운영된다.

 

또 ‘모양다실’에서는 차를 우리며 마음을 가다듬는 전통 다도 체험이, ‘모양도화서’에서는 폭싹 속았수다,

 

데몬 헌터스 풍의 초상화를 남길 수 있는 프로그램도 눈길을 끌고 있다.

 

올해 첫 선을 보이는 ‘고창읍성 쌓기 챌린지’와 ‘힘쎈 사람 선발대회’는 역사적 의미를 체험형 경쟁으로 풀어내며 관람객들의 참여를 이끈다.

 

▶군민이 함께하는 거리축제, “우린 누군가의 히어로”

 

‘모양성’이라고도 불리는 고창읍성(사적 145호)은 서해안을 통해 공격해 올 왜구들을 대비해 조선 단종 원년인 1453년에 당시 호남지역과 제주도까지 19개 고을의 백성들이 힘을 합쳐 쌓았다.

 

아직도 1684m 성곽길 주변에는 구간별 책임고을을 새긴 표지석이 남아 있기도 하다.

 

고창군은 매년 음력 9월9일(중양절) 추수가 마무리되면 읍성 광장에 모두함께 모여서 한해의 고생을 격려하고, 전통과 현대를 접목한 역사문화예술 축제인 모양성제를 열고 있다.

 

이처럼 화합의 의미를 더하기 위해 14개 읍·면,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까지 함께하는 거리 퍼레이드도 진행된다.

 

올해는 ‘우린 누군가의 히어로’를 주제로 각 읍면의 개성을 살린 의상과 퍼포먼스가 어우러져 1.5㎞의 도심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행렬 도중 복주머니를 관광객에게 선물하여 ‘주민 참여와 화합의 행렬’을 연출한다.

 

▶야간 명소화, 고창의 밤을 물들이다

 

고창읍성 성곽을 배경으로 한 드론라이트쇼와 야간 경관조명, 빛의 길을 따라 이어지는 ‘소망등 달기’가 관람객의 발길을 붙잡는다.

 

특히 개막일 밤에는 650대의 드론이 하늘 위에 펼치는 빛의 군무가 예정돼 있으며, 가수들의 다양한 공연과 불꽃놀이가 어우러져 장관을 이룰 예정이다.

 

인기가수의 초청공연도 빼놓을 수 없다.

 

개막식인 29일에는 김희재, 박지현, 김태연 가수의 공연이, 31일에는 기리보이와 DJ박명수와 함께하는 ‘모양나이트’, 11월1일에는 멜로망스와 체리필터가 함께하는 ‘MZ페스타’가, 폐막식인 2일에는 황가람과 최백호의 공연으로 만추의 계절을 물들인다.

 

패밀리존에는 에어바운스 4종, 어린이 당근마켓, 영어문화축전 등 아이들을 위한 공간이 확대되고, 또한 읍성 내부에는 어린이를 위한 친환경 놀이터와 다양한 포토존이 구성된다.

 

청소년을 위한 ‘MZ 퀴즈 대격돌’, ‘청춘 나빌레라’, 전국 단위 ‘청소년 댄스페스티벌’도 열린다.

 

야간에는 ‘강강술래 달BAM댄스’, ‘모양 나이트’, ‘MZ페스타’가 연이어 펼쳐져 세대가 어우러지는 축제의 밤을 만든다.

 

▶친환경·ESG 실천형 축제

 

‘무사고·무바가지·무일회용품’ 3無 실천을 목표로, 축제장 내에서는 다회용기 사용을 확대해 일회용품 사용을 최소화하고, 이와 함께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읍내 상가와 연계한 동리단길 테마거리와 금토끼 야시장이 운영되어 지역 소상공인의 참여를 확대하고, 먹거리부스, 직거래 장터, 한우 팜파티 등 로컬푸드 중심의 상생형 장터가 마련된다.

 

이를 통해 축제가 단순한 일회성 행사가 아닌,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이자 주민과 함께 성장하는 지역형 축제”로 만들어 가고 있다.

 

▶박스 인터뷰

 

심덕섭 고창군수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지는 축제의 진수 보여드릴 것”

 

‘유네스코 세계유산도시 고창’의 브랜드로 관광사업에 주력하고 있는 심덕섭 고창군수. 심 군수는 “세계유산도시의 강점과 기회요인을 살려 지방인구 소멸시대에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지역의 변화와 발전의 터전을 만들어 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고창군은 국내유일 유네스코가 인정한 7개 주요프로그램(세계유산 고인돌, 세계자연유산 갯벌,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농악, 전북서해안권세계지질공원, 기록유산 무장포고문 등)모두 보유하고 있다.

 

심 군수는 “조선시대 3대 읍성(고창, 해미, 낙안)의 가치와 자긍심을 지켜온 고창군이 전통과 현대,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진수를 보여드리겠다”며 “고창을 찾는 모든 분들이 고창愛 빠지고, 모양愛 물드는 잊지 못할 시간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