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임뉴스 김태훈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의회 탄소중립특별위원회(위원장 한정수, 익산4)는 7월 24일, 새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에 대한 전북도의 대응 방안 등에 대해 환경산림국 등 도청 5개국과 전북탄소중립지원센터, 도교육청으로부터 업무보고를 청취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새정부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전북도 대응 전략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의 추진 상황 점검 결과 ▴탄소중립 관련 주요 사업의 추진 현황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 서난이 위원(더불어민주당, 전주9)은 기후에너지부 호남 유치와 관련, 전남은 체계적으로 나서고 있으나, 전북은 명확한 입장과 대응이 부족하다며 지적하며, 심도 있는 전략 마련을 당부했다.아울러 학교 현장에서도 에너지 절감과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해야 하며, 관련 설비 설치 시, 도교육청 조례에 따라,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연 1회 교육이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수진 위원(국민의힘, 비례)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점검 결과, 지연 및 미달성 부문에 대한 사유와 조치계획이 미흡하다고 지적하며, 모니터링을 통한 세심한 사업 추진을 강조했다.또한 도시 중심의 BRT 사업과 농촌 중심의 행복콜서비스 사업의 수요조사 및 예산 배분에 있어 형평성 있는 접근을 당부했다.
▶ 국주영은 위원(더불어민주당, 전주12)은 RE100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 도내 이견으로 전북이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선점을 위한 전략적 대응과 지역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경북이 초거대 영농형 태양광 특구 조성을 위한 용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전북은 새만금 농생명단지를 재생에너지 확대에 활용할 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며 준비 부족을 지적하고, 해당 단지를 적극 활용할 것을 촉구했다.
▶ 염영선 위원(더불어민주당, 정읍2)은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은 탄소배출 감축에 있다며,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새만금 RE100 산업단지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강조하고, 해당 사업의 추진 현황과 서남권 계획 여부를 질의하며, 지역별 안배와 철저한 준비를 통해 우리 도가 선정될 수 있도록 당부했다.
▶ 한정수 위원장(더불어민주당, 익산4)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심의·의결기구로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어 행정과의 연계를 위해 실질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고 당부했으며, 수소 생산시설 등 재생에너지 확대에 있어서도 도의 소극적인 대응을 질책했다. 또한 SK의 AI 데이터센터가 울산에 설치되는 상황에서 당초 새만금에 유치를 약속받고도 도 차원의 대응이 전무한 점, 삼성의 반도체클러스터 설치에 대해서도 도가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제적으로 기업체를 접촉하지 않았던 현실을 지적하며, 전략 수립과 실행을 주도할 컨트롤 타워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