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임뉴스 경남취재본부 | 고성군이 갈모봉자연휴양림 내 숲속의집 보완사업을 마무리하고, 2025년 7월 15일 전면 재개장에 들어갔다.
이번 보완사업을 통해 기존 7동이었던 숲속의집은 총 14동으로 확대되며, 갈모봉자연휴양림은 체류형 산림휴양지로 한층 진화했다.
갈모봉자연휴양림은 2018년 6월 자연휴양림으로 지정 고시된 뒤, 2024년 7월 숲속의집 7동과 숲이그린도서관 개장으로 본격 운영을 시작했다.
그로부터 1년여 만에 이뤄진 전면 재개장을 통해 고성군은 보다 많은 이용객에게 자연 속에서 쉼과 치유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됐다.
이번에 개장한 숲속의집은 전 객실 천장과 일부 벽면을 편백루바로 마감해 실내에서도 은은한 편백향과 피톤치드를 느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천혜의 편백림으로 둘러싸인 갈모봉 숲의 자연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이 공간은 단순한 숙박을 넘어선 산림 치유의 장소로 기능한다.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숲속의집은 총 7,504명의 숙박 이용객을 기록했으며, 숲속 도서관은 8,455명이 방문했다.
총 이용객 수는 15,959명으로, 고성군이 추진 중인 산림복지서비스에 대한 주민과 관광객의 높은 관심을 입증하는 수치다.
갈모봉자연휴양림은 단순한 숙박시설을 넘어 복합 힐링 공간으로 조성됐다.
숲이그린도서관에는 고성군민이 기증한 책과 숲ㆍ자연 관련 도서 약 1,500권이 비치돼 있다.
도서관과 함께 조성된 무인카페, 남해바다 전망 공간은 방문객에게 고요한 휴식의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수국과 야생화가 사계절 내내 피어나는 '천지빛깔숲', 편백림 속 산책로 '앵기바라숲', 어린이를 위한 유아숲체험원 등도 조성돼 있어 연령대별 다양한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앵기바라숲'은 경상도 사투리인 '안겨 봐'에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울창한 편백림 사이를 거닐며 편백을 직접 안아보는 체험이 가능한 공간이다.
고성군은 갈모봉자연휴양림을 방문하는 유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숲해설 및 유아숲체험 프로그램도 상시 운영하고 있다.
계절별로 각기 다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7월에는 △여름숲 물의여행 △수국, 여름을 품다가 진행 중이다.
프로그램은 회당 20명 내외로 구성되며, 경남숲협회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
갈모봉자연휴양림 숲속의집 보완사업은 고성군 산림복지 인프라 확장의 일환이다.
이상근 고성군수는 "갈모봉자연휴양림은 고성의 숲과 군민의 쉼을 잇는 소중한 공간"이라며, "이번 재개장을 통해 더욱 많은 이들이 일상 속 여유와 회복을 누리길 바라며, 대표 산림휴양지로 육성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고성군은 앞으로도 피톤치드 가득한 편백림 속에서 군민과 관광객이 쉼과 회복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산림복지 거점으로써의 역할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