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타임뉴스 윤경수 기자 | 북한이 지난 5년간 약 30억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탈취했고 이 중 절반 정도가 핵과 미사일 개발을 위해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핵개발 능력은 늘어나고 있으며 사이버 범죄를 통해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웨덴 스톡홀롬국제평화연구소는 지난해 북한의 핵탄두 수를 25기로 추정했는데, 올 1월 기준으로 30기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북한의 조립 가능한 핵탄두 수 역시 전년보다 늘어 50~70기 사이로 추정된다.
북한은 해커를 이용해 2018년부터 본격적으로 암호화폐를 훔쳤는데, 지난해 이루어진 베트남 게임업체를 대상으로 한 절도는 역대 최대 규모로 파악됐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력은 날이 갈수록 고도화되고 방식 역시 대담해지고 있지만, 우리의 대응 능력은 어떠한가.
새로운 안보 현실에서 사이버 공격은 주요 위협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에 맞서기 위해 사이버안보 기본법 제정이 시급하지만 민주당의 호응이 부족한 상황이다.
국가 안보는 물론, 북한의 사이버 범죄는 우리 국민의 일상까지 위협하고 있다.
관공서나 은행은 물론 선관위와 국회까지 북한의 해킹 피해를 봤다. 북한은 해커집단 김수키를 이용해 온갖 범죄행위를 저지르는 중이다.
김정은 위원장은 “사이버전은 우리 군대의 만능 보검”이라며 출신 성분을 따지지 말고 실력 좋은 해커를 양성하라는 지시까지 내렸기에 사이버 공격에 맞서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한미 양국은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해 단호한 대응을 이끌어 나가기로 했고, 핵·미사일 개발 자금줄 차단을 위한 사이버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우리 정부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사이버 안보는 여야로 나누어질 수 없는 사안이다. 민주당은 사이버안보 기본법 제정을 위해 초당적 협력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