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타임뉴스 윤광희 기자 | 대한민국이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선거 연임에 실패했다.
글로벌 중추국가 도약을 목표하기에 이번 낙선은 충격적이지만, 일면 예견될 수 있었던 결과였기에 더욱 참담하다.
‘인권’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이지만 지난 문재인 정권 5년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은 침묵해야할 금기어였다.
문재인 정권은 북한 인권 범죄를 규탄하는 유엔 ‘북한인권결의안’에 4년 연속 공동제안국에 불참했다.
뒤늦게 참여해본들 이미 인권을 대하는 대한민국의 후퇴한 인식은 국제사회로부터 외면받고 말았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인권 문제를 포함해 북한 인권 문제에서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된 셈이다.
‘북한의 심기보좌’를 자처했던 문재인 정권 외교의 결과가 국제적 망신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왔다. 이것이 진짜 ‘외교참사’ 다.
‘인권’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대한민국은 ‘인권 후진국’의 오명을 벗어야만 한다.
여당은 "문재인 정권이 무너트린 ‘인권 공든탑’을, 이제라도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가 다시 쌓아 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