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타임뉴스 김태훈 기자 | 울산 남구의회 이소영 복지건설위원장은 26일 교통환경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남구의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025~2034)’이 실제 감축 효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계획의 내실화와 총괄 부서의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먼저 “남구는 올해 2월 주민설명회, 3월 최종보고 및 심의를 거쳐 4월에 탄소중립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64개 감축 사업을 부서별로 추진 중이지만, 2025년 원년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각 사업이 계획대로 정상 추진되고 있는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탄소중립 사업은 11개 부서가 동시에 추진하는 구조로, 총괄 부서인 환경관리과가 각 부서의 진행 상황·성과·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어떤 방식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는지 명확히 확인되어야 한다”고 질의했다.
또한 64개 감축 사업의 구성 방식에 대한 구조적 문제도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대부분이 각 부서에서 기존에 개별적으로 추진해 오던 사업 중심으로 구성돼 있어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전략적 재구성이 충분했을지 의문”이라며 “남구의 온실가스 배출 구조를 기준으로 한 우선순위 설정과 통합 관리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환경자원과 사업 목록에 포함된 ‘소각장 폐열 자원화’와 관련해 “성암소각장 재건립 등 폐열 자원화 사업은 전적으로 시 소관 사업으로 알고 있는데 이를 남구 감축 사업으로 포함하는 것이 적정한 지 검토가 필요하다”며 “향후 남구가 해당 사업에 관여하거나 주관할 부분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이소영 위원장은 “탄소중립 기본계획은 향후 10년간 남구 환경정책의 뼈대를 이루는 중요한 계획”이라며 “각 사업의 추진 실적을 넘어 실제 감축 효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총괄 부서에서 정책의 내실을 더욱 강화해 줄 것”을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