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임뉴스 사회팀 | 전라남도교육청과 전라남도학생교육원, 시베리아횡단 전남독서토론열차학교 1~4기 학생대표단은 5일 전남교육청 대회의실에서 ‘평화를 품은 책길 10주년 한마당’을 공동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독서토론열차학교, 평화통일희망학교, 민주시민토론학교, 독서인문학교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평화를 염원해 온 지난 10년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는 자리로 펼쳐졌다.
더 나아가 기후위기와 AI 시대를 맞아 청소년들이 주체적으로 그려갈 평화의 비전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깊다.
특히, 김대중 대통령 당시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킨 박지원 국회의원이 참석해 전남 학생들의 평화 염원을 응원하며 자리를 빛냈다.
○ 10년의 여정을 돌아보다
2015년 출발한 독서토론열차학교는 책과 토론, 탐방을 결합한 독창적인 프로그램으로 주목을 받았다.
이후 ‘평화통일희망학교’, ‘민주시민토론학교’, ‘독서인문학교’로 계승되며 학생들은 평화, 공존, 인문학적 성찰을 주제로 꾸준히 활동을 이어왔다.
지금까지 1,400여 명이 참여했고, 학생 집필 도서만 380여권이 넘는다.
이번 행사는 지난 10년의 슬로건이 새겨진 깃발을 앞세운 학생 대표단과 내빈의 입장으로 시작됐다.
깃발 행진은 교육공동체의 연대를 상징했으며, 이어진 테이프 커팅식은 새로운 10년의 출발을 알렸다.
그간의 여정을 담은 사진·영상·학생 작품이 전시돼 교육공동체가 책길의 의미를 되새겼으며, 참가자들은 엽서에 활동의 의미를 적어 ‘평화나무’에 걸며 평화의 메시지를 공유했다.
○ 청소년의 목소리, 평화를 말하다
독서토론열차학교 1기 학생회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 10년을 “책을 통해 배우고 토론으로 평화를 익힌 여정”이라 평가하며 광복 80년·분단 80년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겼다.
이어 “청소년이 기후위기와 AI 시대의 도전에 주체적으로 대응할 때, 한반도의 미래가 열린다”고 강조했다.
이어 열린 ‘평화를 품은 책길 포럼’에서는 졸업생과 재학생 패널이 참여해 ▲ 남북 공동의 기후 대응 필요성 ▲ AI를 통한 평화 협력 ▲ 청소년 주도의 실천과 국제 연대 등을 주제로 활발한 토론을 이어갔다.
학생들은 “남과 북의 경계를 넘어 함께 기후위기와 기술 격차를 극복하자”는 의지를 다졌다.
○ 평화 비전 선언
이날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학생 비전선언식이었다.
학생대표 6명이 무대에 올라 전체 학생과 함께 “평화는 우리들의 미래”라는 구호를 외치고 선언문을 낭독했다.
청소년들은 선언문을 통해 ▲ 분단은 어른들의 역사이지만 평화를 열어야 할 세대는 청소년임을 인식하며 ▲ 교육을 통한 남북 청소년 교류가 평화의 지속가능한 방법임을 희망하고 ▲ 청소년이 주체로 나설 때 평화는 선언이 아닌 실천이 될 것임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또한 ▲ 정부·국회·국제사회가 남북 학생 교류의 제도적·재정적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하며 ▲ 앞으로 평화의 시대를 여는 일에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비전선언문은 김대중 교육감에게 전달됐으며, 참가자 전원이 촛불을 밝히며 평화의 다짐을 함께 나누었다.
○ 전남교육, 새로운 10년을 향해
전남교육청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평화·인문교육의 성과를 공유하고, 남북 학생 교류 추진을 위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나설 계획이다.
전남학생교육원 역시 독서·탐방·토론을 결합한 프로그램을 확대해 학생들이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김대중 교육감은 “오늘 다짐한 새로운 10년은 전남을 넘어 세계 평화를 향한 소중한 여정”이라며 “앞으로도 통일 한반도 시대를 대비하는 10만 인재 양성 프로젝트, 전국 학생 평화수호 선언 등 미래의 통일 주역을 키우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