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임뉴스 윤경수 기자 | 필요할 때 누구나, 시간 단위로 미취학 자녀를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이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돼 보다 많은 양육자들이 집 근처에서 보다 편리하게 시간제 보육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기존 18개 자치구에 더해 9월부터 나머지 7개 자치구에서도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 운영을 새롭게 시작한다고 밝혔다.
9월부터 신규 운영하는 7개소는 ▴종로구 초동어린이집 ▴성동구 구립왕십리하나어린이집 ▴동대문구 메꽃어린이집 ▴중랑구 구립 드림어린이집 ▴마포구 삼성아이마루어린이집 ▴영등포구 아토어린이집 ▴서초구 서초구립 서초성모어린이집이다.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기존 어린이집의 유휴 공간을 활용해 취학 전 보육 연령대(6개월~7세) 아이라면 필요할 때 누구나, 시간 단위로(월 60시간 한도, 이용료 시간당 2,000원) 이용할 수 있는 시간제 보육서비스다. 저출생 극복을 위한 서울시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의 하나로 지난해 6월 시작했다.
병원 진료 등 급한 일이 생겼을 때나 밀린 집안일을 해야 할 때, 운동 등 재충전의 시간이 필요할 때, 유치원 등 방학기간일 때 마음 편하게 아이를 맡길 수 있어 시행 이후 이용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올해 1~7월(7개월)에만 2,875건, 12,419시간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했다.
서울시가 시범운영을 시작한 지난해 6~12월(7개월) 이용실적은 2,079건, 7,821시간으로, 작년 대비 올해 이용건수(1.4배)와 시간(1.6배) 모두 증가했다.
양육자의 일정에 맞추어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육아 피로도를 덜어주거나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양육자의 일상을 돕는 틈새 보육기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신규 운영 어린이집(7개소)은 9월 1일부터 이용할 수 있으며, 8월 25일부터 ‘서울시보육포털’에서 이용 예약이 가능하다. 이용요금은 시간당 2,000원이며, 운영시간은 평일 07:30~19:30이다. (주말, 공휴일 제외)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은 이용일 14일 전부터 1일 전까지 온라인으로 사전 예약이 가능하다. 당일 예약은 어린이집에 전화로 12시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마채숙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이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로 직접 집에서 아이를 돌보는 양육자들의 육아로 인한 피로를 조금이나마 덜고, 긴급하게 발생하는 보육공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부모가 걱정 없이, 행복하게 자녀를 양육할 수 있도록 체감도 높은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