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임뉴스 광주취재본부 | 올해 산불 발생으로 인한 산림 소실 면적이 지난 10년 간 소실 면적보다 넓어 광주시 산불 조기진화 체계의 문제점이 지적됐다.
광주광역시의회 최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산1)은 15일 환경복지위원회 소관 기후환경국에 대한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산불 조기진화를 위한 종합체계 점검 및 활성화를 주문했다.
최지현 의원은“올해 3개월 간 신불로 인한 산림 소실 면적이 지난 10년간 피해 면적보다 넓어 초동대처에 문제가 있다”며 “조기 진화 장비와 시스템을 갖추는 등 초기 대응 체계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광주시는 올해만 산불 6건이 발생하여 산림 4.44헥타르(ha)가 소실됐다. 이는 축구장(0.714ha) 6.2개 면적에 해당한다. 한편,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10년간 광주시의 산불 발생은 34건으로 피해면적은 3.87헥타르이다.
최 의원은 광주시가 행정안전부로부터 지원 받은 산불대책비를 홍보비로만 편성한 것을 지적하며 “홍보를 통해 시민들에게 산불에 대한 경각심 고취도 중요하지만 시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 할 수 있는 대책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행정안전부의 산불대책비(특별교부세) 수요조사에서 홍보비로만 1억 8백만 원을 신청한 반면, 5개 자치구에서는 산불 홍보 및 진화장비 구입을 명목으로 1억6천2백만 원을 신청해 교부받았다.
최 의원은 “앞으로도 기후 변화로 인한 기상여건 악화로 산불 발생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을 접목하여 기후위기에 대응한 산불 조기 진화 종합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