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사회

안창현 博士, 한국의 ESG 기업 주당순이익(EPS)과 주가 수익률(PER) 최초 분석 자료 나와

 

코리아타임뉴스 이아름 기자 |  21세기 들어 화석 연료, 플라스틱 등의 남용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환경 재앙이 현실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ESG 경영(E: Environment, 환경, S: Social, 사회, G: Governance, 거버넌스)이 중요한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 ESG 경영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대기업군의 재무성과를 나타내는 주당순이익(EPS)과 주가 수익률(PER)을 최초로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안창현 미국 캐롤라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가 최근 연구해 4월 4일 출판, 발표한 미국 캐롤라인대학교(Caroline University USA) 경영학 박사논문인 ‘기업의 ESG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고객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The Effects of ESG on Brand Equit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Attitude)’ 연구를 통해 제시한 기업의 ESG 활동과 브랜드 자산 간의 관계에서 고객 태도의 매개효과를 분석, 한국ESG기준원이 발표한 ‘2022년도 ESG 등급체계 자료’와 한국증권거래소의 ‘2022년도 기업 공시자료’, ‘전자공시(DART)’를 토대로 해 국내에서 ESG 경영을 활발하게 수행하는 40개 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에 대한 계량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 주당순이익(EPS)은 포스코건설, 현대자동차, LG화학,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순으로 높았고 주가 수익률(PER)은 SK건설, SK증권, LG화학, LG전자, CJ대한통운, SK텔레콤 순으로 나타났다.

 

40개 표본기업 가운데 주당순이익(EPS)이 높은 기업은 포스코건설 36,457원, 현대자동차 26,592원, LG화학 23,574원, SK이노베이션 16,743원, SK에너지 16.743원, KB금융 12,347원, 하나은행 11,949원, 삼성물산 10,843원, KB국민은행 10,685원, KB국민카드 10,685원, KB증권 10,685원, 한국투자증권 10,341원 등의 순이었다.

 

주당순이익(EPS)이 낮은 기업은 한국전력공사 –38,113원, SK증권 20원, SK건설 512원, 미래에셋대우 830원, NH투자증권 882원, NH농협은행 882원, NH농협금융 882원, IBK기업은행 1,756원, BNK금융 2,468원, 우리카드 2,962원, 우리은행 2,962원, 우리카드 2,962원 순으로 나타났다.

 

주가 수익률(PER)이 높은 기업은 SK건설 39.29, SK증권 31.26, LG화학 25.47, LG전자 18.30, CJ대한통운 11.77, SK텔레콤 11.37, 하나금융 10.90, 삼성물산 10.47, NH투자증권 9.94, NH농협금융 9.94 순이었다.

 

주가 수익률(PER)이 낮은 기업은 부산은행 0.23, NH농협은행 0.50, 삼성전자 1.24, BNK금융 2.62, 우리금융 2.68, IBK기업은행 3.00, 한국산업은행 3.20, 하나은행 3.52, 신한금융 4.03, 신한카드 4.03, 신한은행 4.49, KB금융 4.50, KB국민은행 4.54, KB국민카드 4.54, KB증권 4.54, 대한항공 4.90, 우리은행 5.0, 한국투자증권 5.15, GS건설 5.34, 삼성카드 5.50, SK에너지 9.05, GS칼텍스 9.31 순이었다.

 

ESG 경영은 기업의 재무적 요소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활동과 지배구조까지 고려하여 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기업성과지표를 뜻하는 것으로 ESG 경영이 확산하면서 비재무적 요소를 고려하는 ESG 투자와 소비자가 기업의 제품을 살 때 환경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까지 생각해 책임 소비도 포함한다.

 

<표 1>은 ESG 경영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제시하고 있으며, <표 2>와 <표 3>은 ESG 경영에 대한 조사대상표본을 설명하고 있다.

주당순이익(EPS) 포스코건설, 현대자동차, LG화학,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순으로 높아

주가 수익률(PER) SK건설, SK증권, LG화학, LG전자, CJ대한통운, SK텔레콤 순

이와 함께, 안창현 박사는 실증분석 연구를 통해 기업의 ESG 활동 중에서 환경, 사회, 거버넌스 등이 모두 고객의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 행동적 태도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거버넌스가 환경과 사회 부문에 비해 전 부문에서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 기업의 ESG 활동에 따른 고객 태도 중에서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가 브랜드 인식을 높이는 데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행동적 태도 > 인지적 태도 > 정서적 태도 순으로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이와 함께 행동적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가장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정서적 태도, 인지적 태도 순이었다.

 

행동적 태도가 브랜드 연상에도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ESG 활동에 따른 고객 태도와 브랜드 자산 간의 관련성을 보면 고객 태도 가운데 행동적 태도가 인지적 태도와 정서적 태도에 비해 브랜드 자산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업의 ESG 활동에 따른 행동적 태도가 높은 소비자를 많이 구축한 기업일수록 다른 기업에 비해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면서 브랜드 자산에 효과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업의 ESG 활동과 브랜드 자산 간의 관계에서 고객 태도가 매개효과로 작용했다.

 

기업의 ESG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고객 태도의 매개적 역할에 따라 기업의 ESG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의 ESG 경영이 재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연상 등의 브랜드 자산을 높이는 것은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한 고객 태도를 어떻게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안창현 박사는 “ESG의 명성은 회사의 위상, 자금 조달 등 시장에서의 경쟁 압력과 생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ESG 기업이 평판을 잘 유지한다는 개념은 관리자에게도 중요한데, 이는 기업 자금 조달 비용에 영향을 미치거나 기업의 성공적인 자본 조달 및 지속적인 기업 운영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며 “Financial Times Lexicon(2023)은 ESG를 ‘자본시장에서 사용되며 투자자들이 기업 행동을 평가하고 기업의 미래 재무성과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UN은 2006년 출범한 유엔책임투자원칙(UNPRI: United Nations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을 통해 ESG 이슈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도 비재무정보공개지침(NFRD: Non-Financial Reporting Directive)의 개정안인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CSRD: 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 Directive)을 지난 2022년 11월 최종 승인했다.

 

이에 따라 NFRD 적용을 받는 것은 대기업과 공기업, 신용기관, 종업원 500명 이상의 보험회사, 순매출액 4천만 유로(약 592억 원) 이상의 대기업은 2024년 1월 1월부터 CSRD를 준수해야 하며 비유럽 국가더라도 유럽 규제 시장에 상장된 기업이나 순매출액 1억5천만 유로(약 2,220억 원) 이상의 기업 자회사는 모두 포함된다.

 

우리나라 금융위원회는 오는 2025년부터 자산 총액 2조 원 이상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의 ESG 공시 의무화가 도입되며, 2030년부터는 모든 코스피 상장사로 확대된다고 2021년 1월 14일 발표했다.

 

본 연구의 연구범위를 시간적 범위, 공간적 범위, 내용적 범위는 다음과 같다.<표 4>

시간적 범위는 2023년 5월 20일부터 2023년 6월 8일까지 20일간 설문조사가 수행되었으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 등 수도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학생, 직장인, 자영업자, 전문직 근로자, 전업주부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를 층화추출하기 위해서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간소득 등을 중심으로 조사대상자를 선별하였는데, 이는 조사대상자가 기업의 ESG 활동에 대해서 어떠한 소비자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기 위함이다.

 

내용적 범위는 기업의 ESG 활동, 브랜드 자산, 고객 태도 등 3개의 컨스트럭트로 구성되었으며, ESG 활동은 환경, 사회, 거버넌스 등 3개의 요인이 포함되었고,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인식,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연상 등 4개의 요인이 포함되었다.

 

또한 고객 태도는 인지적 태도, 정서적 태도, 행동적 태도 등 3개의 요인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 결과는 <표 4-1>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분포를 보면 전체 500명의 설문조사 대상자 중에서 남자가 267명(53.4%)으로 여자 233명(46.6%)보다 더 높은 분포를 보였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만60~69세가 118명(23.6%)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만50~59세가 108명(21.6%), 만40~49세가 101명(20.2%), 만30~39세가 91명(18.2%), 만20~29세가 82명(16.4%) 순이었다.

 

학력별 분포를 보면 대학교 졸업이 338명(67.6%)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고등학교 졸업 이하가 98명(19.6%), 대학원 졸업 이상 53명(10.6%), 대학원 재학 11명(2.2%)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직업별 분포를 보면 기타를 제외하고 직장인이 292명(58.4%)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전업주부가 각각 63명(12.6%), 자영업자 38명(7.6%), 전문직 근로자 31명(6.2%), 학생 25명(5.0%) 순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별 분포를 보면 200만 원~399만 원이 208명(41.6%)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700만 원 이상은 50명(10.0%)으로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월평균 소득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200만 원~399만 원, 400만 원~699만 원, 200만 원 미만, 700만 원 이상 순이었다.

 

본 연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은 유사한 분포로 조사된 반면,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와 대학교 졸업 이하가 전체의 87.2%로 다수의 분포를 차지하고 있으며, 월평균 소득별 분포는 200만 원 미만과 200만 원~399만 원의 분포가 63.4%로 과반수의 비중을 차지했다.

배너
배너
배너